2023년 7월 국내·해외 여행 동향 분석 조사요약
■ 국내 여행
▷ 현황
- 숙박여행의 평균기간은 2.02박, 총 경비와 1일당 경비는 각각 23.0만원, 7.6만원으로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음.
- ‘호텔’ 이용률이 아직 높으나(27.7%) ’23년 3월(32.5%) 이후 하락세임.
- 여행정보 검색은 ‘공공ㆍ상업적인 채널’보다 ‘SNS’가 압도적 우위임.
▷ 코로나 이전 대비
- TCI로 보면, 여행 경험률만 100에 미치지 못하고(95), 그 외 여행 기간, 총 비용, 일 평균 비용은 모두 100을 넘어(103~107) 코로나 이전을 상회함.
▷ 전망
- 여행정보 검색에서 ‘SNS’의 우세가 여전한 가운데 ‘공공ㆍ상업적인 채널’의 부진은 점점 심해지고 있음.
- 원인 파악과 대책 수립이 시급함.
■ 해외 여행
▷ 현황
- 해외여행 지역은 상승세를 보이던 아시아권의 점유율이 소폭 하락하고, 유럽이 전월 대비 상승함.
- 이에 따라 해외여행의 평균기간은 6.20박(TCI 115), 총 경비와 1일당 경비는 각각 183.4만원(TCI 135)과 25.5만원(TCI 121)으로 지난 6월에 비해 상승함.
이는 여름휴가의 효과로 보임.
▷ 코로나 이전 대비
- 지난 6개월 간 해외여행 경험률은 급상승세로 26.0%에 달했으나, 코로나 전 43%에 크게 미치지 못함(TCI는 60).
▷ 전망
- 해외여행 경험률(지난 6개월)이 코로나 전 수준에 이르기에는 현 추세로 보면 10개월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 여행지역은 아시아지역으로의 쏠림 현상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
컨슈머인사이트는 비대면조사에 효율적인 대규모 온라인패널을 통해 자동차, 이동통신, 쇼핑/유통, 관광/여행,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빅데이터를 패널 리서치 데이터와 융복합
연계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고 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100% 모바일 기반으로
전국민 표본 대표성을 가진 조사 플랫폼 ‘국대패널’을 론칭하고 조사업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
|
여행 전문 리서치 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서’를 무료 공개합니다. 컨슈머인사이트가 2015년 8월부터 매주 5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주례 여행행태 및 계획 조사’의 핵심 내용을 발췌한 것으로, 여행 관련 산·학·연과 관계자에게 시시각각 변하는 여행 소비 행태의 흐름을 읽는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컨슈머인사이트의 여가·여행 홈페이지(https://www.consumerinsight.co.kr/leisure-travel/)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