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isure · Travel 스킵네비게이션

해외여행, 왜 일본으로 몰려가는가?

2024.02.27
컨슈머인사이트, ’23년 해외여행지 여행자원·환경 평가 비교
- 일본, 먹거리 살거리 등 세계 1위 여행 콘텐츠 갖춰
- 물가, 청결 등 인프라 수준도 높아 가심비 최고
- 여행 비용은 아시아 평균 수준과 별 차이 없어
- 막강 일본 극복 못하면 국내 관광산업 미래 암울
- 여행자-현지인-지자체 윈윈의 상생모델 찾아야
이 리포트는 컨슈머인사이트가 2월 28일 발간하는 ‘월간 국내·해외 여행동향 보고(’24년 1월)’의 별첨으로 작성된 ‘이달의 토픽’입니다.

○ 해외 여행지로 일본이 폭발적으로 뜨고 있다. 한국인 여행자는 일본을 ‘먹거리’와 ‘살거리’, ‘물가·상도의’와 ‘청결·위생’에서 세계 1위로 평가했다. 여행 비용도 아시아 평균과 별 차이 없는 수준으로 저렴했다. 뜨는 일본이 국내 관광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 여행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매년 9월 수행하는 해외여행지 만족도 조사에서 최근 1년(’22년 9월~’23년 8월) 내 해외여행을 다녀온 9375명에게 그 여행지에 얼마나 만족했는지, 여행 콘텐츠와 여행인프라는 어느 정도 잘 되어 있는지 묻고 그 결과를 비교해 27개 국가별 여행지 경쟁력을 분석했다. 평가 세부 항목은 여행콘텐츠 측면 5개(놀거리, 먹거리, 볼거리, 살거리, 쉴거리)와 인프라 측면 6개(교통, 물가·상도의, 청결·위생, 편의시설, 안전·치안, 언어·현지문화)였다.
일본, 종합만족도 세계 6위

○ 일본은 여행지 종합만족도에서 평가된 세계 27개 중 6위였다. 스위스, 스페인, 호주, 이탈리아, 뉴질랜드 다음이며 아시아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다(참고. 해외여행지 만족도, 일본 ‘쑥’ 미국 ‘뚝’…이유는?)[표1].

○ 여행지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것은 여행자원(콘텐츠)과 여행환경(인프라)이다. 일본은 두 부문 중 여행인프라 쾌적도에서 최상위권(세계 2위)이었고, 여행콘텐츠 매력도에서는 중상위권(10위)으로 평가됐다[표1]. 그러나 11개 세부항목 (콘텐츠 5개, 인프라 6개)별 평가에서는 무려 4개 항목(공동 1위 2개 포함)에서 1위에 올라 막강한 경쟁력을 뽐냈다.

여행콘텐츠 매력도 : 현지 지출과 직결된 ‘먹거리’, ‘살거리’ 최고 만족

○ 여행콘텐츠 매력도 종합평가에서 일본은 10위로 중상위권에 속했다. 호주, 하와이, 스페인, 스위스 등 여행강국은 물론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일부 아시아 국가에도 뒤졌다. 그러나 5개 세부 항목 중 가장 현지 지출 비중이 큰 ‘먹거리’와 ‘살거리’ 2개 항목에서는 1위였다[표2].

○ 먹거리, 살거리는 거의 전액이 현지 지출인 중요 콘텐츠로 여행자의 가성비 평가에 큰 영향을 준다. 이 결과는 일본 여행산업이 한국 관광객에게 가성비 좋은 관광체험을 제공하고, 현지인에게는 수익성 있는 사업 기회를 주며 지자체와 상생하는 이상적 사업 모델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참고. 해외여행 가성비 1위는 일본·태국, 한국은?).

여행인프라 쾌적도 : 일본, 6개항목 모두에서 4위 안에 들어

○ 일본은 여행인프라 쾌적도에서는 세계 2위로 최상위권을 차지했다[표3]. 도시국가인 싱가포르에 뒤졌을 뿐 스위스, 괌, 호주 등 여행환경 강국을 앞섰다. 세부 항목별로 보면 물가·상도의, 청결·위생 2개 항목에서 각각 독일·싱가포르와 공동 1위였고, 편의시설, 안전·치안 2개 항목에서는 2위였다. 언어·현지문화(3위), 교통·환경(4위)을 포함, 6개 항목 모두에서 4위 안에 든 강국이었다.

○ 일본은 세계 최고수준의 콘텐츠를 최상의 인프라에서 즐길 수 있는 최적 조건을 두루 갖춘 셈이다. 특히 국내 여행지에서 항상 문제가 되는 물가·상도의 측면을 한국 여행자가 세계 1위로 평가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최고의 가심비를 일본 여행에서 체험한 결과다.

저렴한 여행비로 세계수준의 식도락과 쇼핑 가능

○ 여행콘텐츠와 인프라만을 놓고 보면 한국 소비자에게 최고의 여행지(톱3)는 호주, 스위스, 싱가포르다. 그러나 비용까지 반영한 가심비로 따지면 일본이 단연 톱이라 할 수 있다.

○ 일본의 1일 평균 비용은 25.1만원으로 아시아 전체 평균(23.1만원)과 큰 차이 없다. 아시아 평균보다 1일 2만원만 더 내고 세계 1위의 식도락과 쇼핑을 즐긴다면 일본은 ‘관광 천국’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에 더해 ‘청결·위생’, ‘물가·상도의’등의 탁월한 여행인프라가 주는 가심비는 항상 원해 마지 않던 것이다. 이를 마음속 경쟁 상대이며 선진국인 일본에서 누릴 수 있다는 것은 호사가 아닐 수 없다.

○ 한국인이 일본에 몰리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일본은 한국의 국내 관광산업을 위협하는 가공할 경쟁력의 대체재이며, 막대한 관광수지 적자의 근원이다.


컨슈머인사이트는 비대면조사효율적인 대규모 온라인패널을 통해 자동차, 이동통신, 쇼핑/유통, 관광/여행,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빅데이터패널 리서치 데이터융복합 연계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고 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100% 모바일 기반으로 전국민 표본 대표성을 가진 조사 플랫폼 ‘국대패널’론칭하고 조사업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


이 결과는 컨슈머인사이트 소비자동향연구소가 매년 9월에 여행소비자 2만 5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연례 해외여행 및 여행상품 만족도조사’를 바탕으로 작성됐습니다. 매년 업데이트되는 조사 결과와 분석 리포트는 https://www.consumerinsight.co.kr/leisure-travel/에서 볼 수 있으며, 2016-2022년 조사 결과를 요약한 자료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리포트 다운로드 받기)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십시오.

김민화 연구위원/Ph.D kimmh@consumerinsight.kr 02-6004-7643
이제성 책임연구원/Ph.D leejs@consumerinsight.kr 02-6004-7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