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이트
  • 경제

코로나 백신 `정해진 대로 맞겠다` 49%…젊을수록 부정적

2021-03-31
컨슈머인사이트, 코로나19 백신 접종 인식 조사
–  `문의 후 결정하겠다` 36%, `맞지 않겠다` 15%로 유보/부정 절반 넘어
–  `맞겠다` 이유는 `감염 걱정`, `안 맞겠다`는 `부작용 걱정`
–  백신 접종 결정에 `핵심 관계자의 접종` 중요하다 74%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대해 젊은 계층일수록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으며, 접종 의사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주례 소비자체감경제 조사`(매주 1000명)에서 3월 1주부터 3월 3주까지 총 3,000명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의향 및 이유, 접종 시 고려 요인에 대해 묻고 결과를 분석했다.



다음 주 백신 접종 대상자가 된다고 가정했을 때 △`정해진 대로 맞겠다` 49% △`맞지 않겠다` 15%, △`문의 후 결정하겠다`는 유보적 응답이 36%였다 [그림1]. 접종 의사는 연령대별로도 큰 차이가 있었다. 20-30대는 `정해진 대로 맞겠다`가 3명중 1명(각각 33%, 34%) 수준에 그쳤으나, 50-60대는 3명중 2명 가까이(각각 64%, 63%)가 `맞겠다`는 반응을 보여 접종 수용률이 2배에 육박했다.



백신 접종 수용 이유로는 △`감염이 걱정되어서`가 34%로 가장 높았고, 이어서 △`언젠가는 접종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서` 23%, △`평소 활동 범위가 자유로워질 것 같아서` 19% 순이었다 [그림2]. 반면 `접종하지 않겠다`는 이유는 하나로 모였다. 모든 연령대에서 △`부작용이 걱정되어서`가 가장 컸다(66%). 맞으려는 동기는 개인별로 다르지만, 맞지 않으려는 이유는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대표되었다.

젊을수록 추가 비용 지불 의향 높아...
접종 백신을 자의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절반 가랑(48%)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를 정점(55%)으로 고연령으로 갈수록 추가비용 지불 의향도 낮아지고(60대 40%), 지불의향 금액도 낮아졌다(30대 4만 6천원 → 60대 2만 5천원). 전반적으로 30대가 타 연령보다 추가 지불 의사와 평균 지불 금액이 모두 높은 반면, 60대는 이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

공인기관 인증 여부-국내외 부작용 사례 중요시
백신 불안감 해소의 핵심은 `공인기관 인증`과 `부작용 없음`으로 나타났다. 백신 접종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8개 요소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인기관의 인증 여부`와 △`국내외 부작용 사례`(각각 93%)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백신 개발국`(83%), △`백신 개발사(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등)`(83%), △`미 접촉시 불이익`(79%),△`국내 접종률/거부율`(75%)순이었다. △`핵심관계자 접종 사실`(74%)과 △`접종기관(66%)이 그 뒤를 따랐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접종 불안을 제거하는 다양한 방법 중 가장 쉽고 직접적이며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핵심 관계자가 나서서 접종 받는 것`이다. 책임 있는 사람이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대중의 신뢰를 얻는 가장 쉽고 분명한 방법이다. 책임있는 사람의 역할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컨슈머인사이트는 비대면조사에 효율적인 대규모 온라인패널을 통해 자동차, 이동통신, 쇼핑/유통, 관광/여행,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패널 리서치 데이터와 융복합 연계하여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고 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조사결과는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19년 1월 출범한 `주례 소비자체감경제 조사`로부터 나온 것이다. 매주 1,000명(매달 4,000~5,000명)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의향 및 이유, ▲백신 접종 고려 요인 등 코로나 19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해 조사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십시오.

김민화 연구위원/Ph.D kimmh@consumerinsight.kr 02-6004-7643
김지윤 연구원 kimjy@consumerinsight.kr 02-6004-7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