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례) 금융 플랫폼 기획조사 - 2023년 10월 집계
- 성장 추세 이어온 모니모는 9월 고비로 상승세 둔화
- 토스, 10월 말 49.1%로 2위그룹에 13%p 이상 앞서
- 미래에셋증권 M-STOCK, 증권사 앱 중 유일하게 톱20 진입
- 하나금융의 핀크는 여전히 확보고객 1~2%에 머물러
|
|
(주례) 금융 플랫폼 기획조사 개요 |
|
○ 조사기간 : 매주 월요일~목요일(4일간)
○ 조사방법 : 이메일/모바일 조사
○ 조사대상 : 전국 20~69세 성인
○ 조사표본 : 매주 500명 이상
○ 표본 프레임 : 약 86만명의 비편향 패널(Unbiased Panel)
○ 표본추출
1단계 : 성·연령·지역별 표본수 할당
2단계 : 표본 프레임에서 성·연령·지역별 할당 후 무작위 추출
|
|
|
|
(’23. 10월) 소비자가 꼽은 ‘정기적/생활 필수 금융 앱’ 순위
○ 토스는 49.1%로 조사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며, 확보고객 50% 달성을 눈앞에 둠
○ 미래에셋증권 M-STOCK, 증권사 앱 중 유일하게 20위 안에 진입했으나, 10개 내외의 금융 앱이 확보고객 7~10% 범위에 근소한 차이로 밀집되어 순위 변동 가능성 큼
순위 밖의 증권사 앱에는 삼성증권 mPOP(7.3%), 키움증권 영웅문S#(7.5%), KB증권 M-able(6.4%) 등이 있음
* 확보고객 : [별첨1] ‘금융 플랫폼 기획조사’의 앱 활동성 평가 지표 참조
** 비고(해당권역) : [별첨2] ‘조사 대상 앱’을 퍼블리셔의 사업영역을 기준으로 분류(e.g. 은행/인터넷뱅크, 증권, 신용카드 등)
확보고객 비율은 금융소비자의 행동 특성을 반영해 개발한 지표로, ‘정기적으로 이용하거나 생활하는데 필수적으로 이용한다’는 응답 비율임.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월간 활성이용자수(MAU)와 구분되는 ‘인식적 지표’로서 진성이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음
[참고] 주요 핀테크 앱의 확보고객 추이
○ 10월 말 현재, 카카오페이 의 확보고객 비율은 다시 상승세
○ 전년 10% 안팎이던 모니모와 네이버페이 확보고객 비율은 23년 3월 이후 동반상승, 6월부터는 15~20% 유지하며 유사한 행보
○ 페이코, 뱅크샐러드, 핀크는 전년대비 비슷한 수준으로 기대 못 미쳐
○ 네이버페이, 페이코, 뱅크샐러드는 20, 30대 많아
○ 카카오페이는 전 연령대에서 고른 이용자층 확보
○ 확보고객 증가세가 주춤한 모니모는 50대 비율 높음
○ 하나금융그룹의 핀크는 남성과 고소득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음
→ 연령대별 확보고객 특성은 각 앱의 마케팅 포인트와 연결되는 것으로 보임(뒷면 참조)
컨슈머인사이트는 대규모 온라인패널을 통해 금융, 자동차, 이동통신, 쇼핑/유통, 관광/여행 등 다양한 산업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리서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집된 서베이 데이터는 금융·통신 등 다양한 빅데이터와 융복합 연계하여 각 데이터의 한계점을 넘어서는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100% 모바일 기반으로 전국민 표본 대표성을 가진 조사 플랫폼 ‘국대패널’을 론칭하고 조사업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했습니다.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