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조사 시대의 종언!
우리에겐 변화의 용기와 대안이 필요합니다!
- - COVID19 으로 대면조사 수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통계작성에 큰 혼란이 있습니다.
- - 시간, 비용, 품질상의 문제에도 연속성 때문에 대면조사를 유지할 수 밖에 없었으나
- - 대표성을 해결할 비대면 조사가 가능해졌습니다!
-
- 우리에게는
- ▶ 대표성 1) 통계청 국가통계 작성 방식의 확률 표집 기반
- (동일 방식으로 모바일 조사 최초로 통계청 통계작성 변경 승인. 2021.10.13)
- 2) 응답률 90% 이상으로 높은 표집 품질 실현
- ▶ 시간, 비용, 품질 측면에서 획기적으로 개선된 모바일 기반의 조사 방식을 채택
- ▶ 다양한 경제, 사회조사 특성정보를 기초조사로 수집/보유
- ▶ 재정, 소비, 라이프스타일 관련한 행동기반 빅데이터를 연계한
국대패널이 있습니다.
공공부문 조사의 수주 경쟁에 원칙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자료수집을 돕는 역할에 충실하겠습니다.
국대패널 개발 배경
새롭게 나타나는 사회환경의 변화는 조사환경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
-
- 사회 환경의 변화
- 조사대상을 대면 접촉할 수 있는 기회 급감
- - 1인 가구, 맞벌이 가구 증가
- - 가정 방문 어려움(아파트 주거 54.3%)
- - 재택률의 감소
-
- 디지털화(스마트기기의 일상화)
- 호모 모빌리쿠스의 시대
- -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 - 민간 영역에서는 모바일 조사 보편화
-
- COVID19 충격
- COVID19 로 인한 언택트 문화에 적응
- - 대면 접촉을 꺼리는 일상의 지속 전망
- - 모바일 디바이스,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의존도 더욱 증가
-
- 조사 환경의 변화
- 대면 조사 환경의 악화, 대안 요구 증가
- - 조사원 확보 곤란(낮은 임금)
- - 조사주기, 일정, 예산의 단축/감소 요구
- - 대면, 전화조사의 낮은 응답률
- - 민감한 질문의 결측값 증가(빅데이터 활용 필요)
- - 비표본 오차 존재(조사원)
대면조사에서 비대면조사로 가구 단위에서 개인단위로 개인단위의 빅데이터자료 활용 요구 증가
전국민을 대표하는 비대면 모바일 패널
- 컨슈머인사이트는 국가통계를 수행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SK텔레콤과 함께 새롭게 ‘국대 패널’을 구축했으며 현재 5만여명의 활성화 패널을 확보함
- 22년 상반기내 총 20만명으로 패널을 확대할 계획임
- 국대패널은 전국민을 대표하는 패널이라는 의미